네트워크 모델 중 물리 계층과 데이터 링크 계층은 통신이 이루어지는 가장 근원적인 지점이다.
이더넷 (ethernet)
이더넷이란?
- 현대의 유선 LAN 환경에서 가장 대중적으로 사용되는 기술
- 두 컴퓨터가 정보를 주고 받기 위해선 케이블과 같은 통신 매체도 필요하고, 통신 매체를 통해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도 정해져있어야한다.
- 즉 이더넷은 다양한 통신 매체의 규격들과 송수신되는 프레임의 형태, 프레임을 주고 받는 방법이 정리된 네트워크 기술이다.
물리 계층에서의 이더넷
이더넷 표준
- 이더넷은 현대 유선 LAN 환경의 표준
- 이더넷은 국제적으로 표준화되어있으며, 이더넷 관련 표준의 모음을 IEEE 802.3 이라 칭한다.
- 새로운 이더넷 표준이 계속 발전하며 IEEE 802.3 뒤에 다른 버전을 나타내는 알파벳을 붙여 표현하기도 한다. (ex. 802.3u)
이더넷 통신 매체 표기 형태
이더넷 표준 규격에 따라 구현된 통신 매체를 지칭할 때에는 속도와 틍성을 한눈에 파악하기 쉽도록 다음 규칙을 따라 표기한다.
<aside>
💡
①[전송 속도] ②BASE - ③**[추가 특성]**
</aside>
- 전송 속도
- 숫자만 있는 경우 Mbps 속도, G가 붙은 경우 Gbps 속도
- BASE
- 베이스밴드(BASEBand)의 약자로 이는 변조 타입(modulation type)을 의미
- 변조 타입이란 비트 신호로 변환된 데이터를 통신 매체로 전송하는 방법을 의미
- 브로드밴드, 패스밴드 등의 방식도 있으나 대부분의 이더넷 통신 매체는 BASE 사용